Information Security
29-2 SSH 본문
SSH
-보안이 강화된 원격 접속 서비스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되어 전송
-TCP/22번 사용, 리눅스 배포판 설치 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ssh [계정]@[IP주소]
-[계정] 생략 시 기본 값 root 계정으로 동작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Server-A에서 Client-Linux 접속
password를 입력하면 Client-Linux의 root 계정으로 접속 가능
scp
Server-A
홈 디렉터리로 이동
scp_file1 생성
파일 확인
Client-Linux
#scp [원본 파일] [대상 파일]
-Server-A(100.100.100.110)의 홈 디렉터리 아래에 위치한 scp_file1을 Client-Linux의 홈 디렉터리로 복사
yes
Server-A root 계정의 password 입력
복사 완료
홈 디렉터리로 이동
-파일이 복사된 것 확인
-ssh 서버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서버 간에는 파일을 안전하게 복사할 수 있다.
실습
1. Server-A에서 scp 명령어 이용하여 Client-Linux의 /etc/passwd 파일 /home 디렉터리로 받아오기
#scp root@100.100.100.130:/etc/passwd /home
...
홈 디렉터리 passwd 파일 확인
2. Server-A에서 scp 명령어 이용하여 /etc/xinetd.d/telnet 파일을 Client-Linux의 /home 디렉터리로 복사
#scp /etc/xinetd.d/telnet root@100.100.100.130:/home
Client-Linux에서 확인
-telnet 파일 확인
-파일을 잘못 수정했거나 날렸을 때 다른 서버에서 가져올 수 있다.
ssh 프로그램 사용 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설정하기
-실무에서는 root 계정으로 ssh에 바로 접속하는 경우는 없다.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 후 root 계정으로 스위칭하여 사용한다. (sudo 권한 이용)
/etc/ssh/sshd_config ssh 서버용 설정 파일
/etc/ssh/ssh_config ssh 클라이언트 설정 파일
ssh 서버용 설정 파일 수정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수정
ssh 데몬 재시작
Client-Linux에서 Server-A root 계정으로 접속 시도 -> 실패
나의 이름으로 계정을 생성
wheel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모든 명령어를 실행할 것을 허락한다.
나를 wheel 그룹에 속하도록 한다.
내 계정으로 접속
-접속 후 root 계정으로 스위칭 -> YERIM 계정으로 로그인해야지만 root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앞으로 이렇게 root 계정에 접속할 것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2 FTP(File Transfer Protocol) (0) | 2017.10.27 |
---|---|
30-1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0) | 2017.10.27 |
29-1 TELNET (+ NC) (0) | 2017.10.26 |
28 DNS Master & Slave 서버 구축 (0) | 2017.10.25 |
27 DNS 서버 구축 (0) | 2017.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