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Security

16-1 파티션 설정 및 용량 증설 본문

Linux

16-1 파티션 설정 및 용량 증설

leeeeye321 2017. 9. 29. 15:32

파티션 설정 및 용량 증설

 

1. 디스크 추가

VMware -> Server -A -> Settings

 

[Add]

 

[Hard Disk] -> [Next]

 

[SCSI] -> [Next]

 

[Create a new virtual disk] -> [Next]

 

[Maximum disk size : 2GB]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Next]

 

[Finish]

 

위의 과정을 한번 더 반복

 

2. 추가한 디스크를 시스템에 인식 시키기 위해 재부팅

#reboot

 

3. fdisk 명령어를 이용하여 추가 디스크 확

#fdisk [option] [dev_name]

 

-l    현재 시스템이 인식한 모든 디스크의 정보 출력

 

/dev/sdb, /dev/sdc 확인

 

4. 파티션 생성

#fdisk [dev_name]

해당 장치의 파티션 설정

 

 

Command action

d   delete a partition (파티션 삭제)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파티션 타입 출력)
   m   print this menu (도움말)
   n   add a new partition (새로운 파티션 생성)
   p   print the partition table (파티션 테이블 확인)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저장하지 않고 종료)
   t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파티션 타입 변경)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저장 후 종료)

 

실습1) /dev/sdb 디스크 파티션 설정

주파티션1    /dev/sdb1    200MB

주파티션2    /dev/sdb2    400MB

주파티션3    /dev/sdb3    600MB

 주파티션4    /dev/sdb4    나머지 

 

/dev/sdb 디스크 파티션 설정

 

새로운 파티션 생성

 

주파티션1    /dev/sdb1    200MB

주(Primary) 파티션

 

1번 파티션

 

[Enter] -> default 값 1 부터

 

200MB까지 생성

 

주파티션2    /dev/sdb2    400MB

 

주파티션3    /dev/sdb3    600MB

 

 주파티션4    /dev/sdb4    나머지 전부

주파티션4는 나머지 전부 -> [Enter]

 

default 값 261(끝)까지로 설정

 

파티션 테이블 확인

 

 

습2) /dev/sdb 디스크 파티션 설정

주파티션1    100MB

주파티션2    100MB

주파티션3    100MB

확장파티션    나머지 전부

논리파티션    500MB

논리파티션    나머지 전부

 

 

주파티션1    100MB

 

주파티션2    100MB

 

주파티션3    100MB

 

확장파티션    나머지 전부

자동으로 4번이 선택된다.

 

디스크 끝까지 확장 파티션으로 생성

 

-자동으로 논리 파티션으로 선택된다.

-2개의 논리 파티션 생성

 

파티션 테이블 확인

 

논리 파티션 만들기

 

주파티션1    100MB -> 확장 파티션    나머지 전부

 

l(logic) 논리 파티션    500MB -> 논리 파티션    나머지 전부

 

-확장 파티션은 논리 파티션을 위한 파티션으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다.

-논리 파티션을 구성하기 위한 크기를 확장 파티션으로 미리 지정한 뒤에

지정한 범위 내에서 논리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다.

(파티션 번호 5번부터 시작)

 

5. 파일 시스템 생성

#mkfs(make file system)

-t(type)

 

파티 테이블이 위와 같은 상태라고 가정

 

/dev/sdb 디스크의 1번 파티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겠습니다.

 

생성 성공

 

2번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 생성

 

3번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 생성

 

-생성한 파티션에 데이터가 저장될 때 어떠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된다.

 

6. 마운트 포인트 생성과 마운트

마운트 포인트(mount point)

-장치와 연결되는 디렉터리

 

-마운트 포인트 생성

 

마운트(mount)

-특정 디렉터리에 장치(Disk)를 연결(탑재)하는 것

-리눅스는 파일 단위로 장치를 관리하기 때문에, 새롭게 만든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성한 파티션(ex) /dev/sdb1) 파일을 임의의 디렉터리와 연결시켜서 사용해야 한다.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어 있는 상태로 만들어서 시스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mount [대상(장치명)] [마운트포인트]

sdb 디스크의 파티션을 TEST 디렉터리에 연결

 

마운트 해제

#umount [mount_point]

ex) #umount TEST1

 

※마운트를 해제할 경로에 위치한 상태이거나, 마운트되어 있는 파일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마운트 해제를 할 수 없다.

 

마운트 확인

#mount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되어 있는 파티션의 정보를 출력

 

#df(disk free)

-현재 마운트되어 있는 파티션의 용량 정보를 출력

-h    사람이 읽기 쉽게 용량 단위를 붙여서 출력

 

7.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정보 등록

-부팅 시 마운트할 파티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마운트가 되어 디렉터리 구조가 만들어 진다.

 

필드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타입] [옵션] [덤프 생성 유무] [파일 시스템 검사]

 

 [장치명]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 파일의 경로, LABEL, UUID가 올 수 있다.

ex) /dev/sdb1

 

 [마운트 포인트]

-장치가 연결되는 디렉터리의 경로

ex) /TEST1

 

[파일 시스템 타입]

-mkfs 명령어로 생성했던 해당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타입

ex) ext4

 

 [옵션]

-마운트 옵션

-보통 defaults 옵션을 사용

defaults == (rw, suid, dev, exec, nouser, async)

-자주 사용되는 옵션들을 묶어 놓음

 

 [덤프 생성 유무]

-해당 파티션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생성하는 파일(덤프)

 

0    생성하지 않음

1    생성함

 

 [파일 시스템 검사]

-부팅 시 해당 장치에 문제가 있는지 검사하는 옵션(#fsck)

 

0    검사하지 않음

1    검사(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대부분 루트 디렉터리가 마운트 되어 있는 파티션에 적용

2    검사(1 이후에 검사할 파티션)

-루트 파티션 이후에 검사할 파티션

/etc/fstab 파일에 위의 내용을 추가한 후 저장한다.

 

재부팅

 

재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어 있는지 확인 한다.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

-특정 장치나, 구성한 설정에 할당되는 고유한 값(절대 중복되지 않음)

-디스크 교체 작업이나, 추가/제거 작업 시 장치명이 변경되어

 마운트가 되지 않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UUID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생성된다.

 

#blkid(BLocK ID)

-시스템의 모든 파티션에 대한 UUID 출력

 

#blkid [dev_name]

-지정된 파티션에 대한 UUID 값을 출력

 

/dev/sdb1 -> UUID=75f1450d-f8fb-44bd-ba36-bc9b8aa22935
/dev/sdb2 -> UUID=56481f54-329e-488c-bc05-b654828ab038
/dev/sdb3 -> UUID=e958c210-1db8-4b81-b4f4-87bff91ffb6d

-/dev/sdb 디스크의 파티션에 대한 UUID 값

 

 /dev/sdb1 /TEST1 ext4 defaults 0 0 
 /dev/sdb2 /TEST2 ext4 defaults 0 0 
 /dev/sdb3 /TEST3 ext4 defaults 0 0

-/etc/fstab에 추가했던 내용이다.

-장치명 대신 UUID를 넣어주면 디스크 교체 작업이나, 추가/제거 작업 시 장치명이 변경되어

 마운트가 되지 않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UUID=75f1450d-f8fb-44bd-ba36-bc9b8aa22935    /TEST1 ext4 defaults 0 0 
 UUID=56481f54-329e-488c-bc05-b654828ab038    /TEST2 ext4 defaults 0 0 
UUID=e958c210-1db8-4b81-b4f4-87bff91ffb6d    /TEST3 ext4 defaults 0 0

 

 

저장 후 다시 재부팅

 

마운트 확인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 Linear RAID  (0) 2017.09.30
16-2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 Independent Disk)  (0) 2017.09.29
15 파일 시스템 관리  (0) 2017.09.28
14-2 예약 작업(at, cron)  (0) 2017.09.27
14-1 프로세스 관리2  (0) 201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