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Security
011 문자형 변수 이해하기(char) -문자형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char형과 unsigned char형이 있다. 1. char형 변수 ch에 범위를 벗어나는 200을 저장하여 값이 자동으로 변환되었다. 2. unsigned char형 변수 j에 200을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음수는 저장할 수 없다. 3. char형 변수에 아스키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맞는 아스키 값이 출력된다. 012 정수형 변수 이해하기(int) 013 실수형 변수 이해하기(double) -실수형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float형과 double형이 있다. -실수형 변수는 소수점 이하 몇 자리까지 표시하는지 나타내는 정밀도를 가지고 있다. float형의 정밀도는 7자리, double형의 정밀도는 14자리이다. 0..
001 C 프로그램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화면에 출력 해보기 002 변수형 개념 배우기 ※ 변수명 제한 1. 대/ 소문자, 숫자, 밑줄문자(_)등 사용 2. 숫자로 시작 불가 3. 기본 예약어 또는 함수 사용 불가 4. ANSI C에서 31자, MS-C에서 247자 까지 사용 가능 5. 대/ 소문자 구분, 한글 사용 불가 003 상수형 개념 배우기 -변수: 변할 수 있는 수 -상수: 변할 수 없는 수 8 : X는 상수로 정의 되었기 때문에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상수는 주로 프로그램이 시작부터 끝까지 변경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3 , 4: X는 정수형 상수 이고, PI는 실수형 상수로 정의 되었다. 상수는 정수형과 실수형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04 연산자 개념 ..